시제 (시향) |
1. 뜻 : 시제는 크게 보아 사시제와 묘제로 나눌 수 있다.
사시제는 사중시제(四仲時祭 )라고도 하는데, 춘하추동의 중월(仲月 )인 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길일을 골라서 부모로부터 고조부모까지의 제사를 받드는 것으로 제사 중의 정제(正祭 )였다.
우리 나라의 사시제는 조선시대에는 『국조오례의』에 규정하고 있는데, 대체로 주자의 ≪가례≫ 의식을 본떴다. 그러나 한국의 사시제의 절차는 주자 ≪가례≫와 차이를 보인다. 사시제의 절차는 제사 중에서 가장 완비된 절차이므로 기제사를 비롯한 모든 제사에 그 경중에 따라 덜하거나 더하여 사용하였다.
묘제(墓祭 )는 대부분 음력 3월이나 10월 중에 길일을 택해서 사대봉사가 끝나, 대진(代盡 )한 5대조 이상의 조상을 해마다 한번 묘소에서 받드는 제사이다.
▶ 분방기 |
||||||||||||||||||||||||||||||||||||||||||||||||||||||||||||||||||||
※ 제관 분방기(分榜記) 1) 시제(時祭 )분방(分榜 )
2) 산신제(山神祭 ) 분방
|
시제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2. 묘소 산신제
묘소에 도착하면 산신제를 먼저 지낸다. 산신제는 분향강신 참신 헌작 독축 사신 순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
간지 ○월 ○○일 小生 ○○는 삼가 土地之神 에게 아뢰옵니다.
훈련원봉사 할아버지와 김해김씨 할머님께 공손히 시제를 올리고 저의 선조님의 묘를 시절에 따라 돌봐주신 것은 토지신의 은덕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삼가 술과 반찬으로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리오니 흠향하십시오.
3. 시제 봉행
▶ 진 설
▶ 다음 시제홀기에 따라 시제를 드리면 됩니다.
時祭笏記 (시제홀기)
謹具請享祀 -근 구 청 향 사
삼가 지금부터 제례를 행하겠습니다.
獻官各諸執事各服其服 俱就神位前序立 - 헌관각제집사각복기복구취신위전서립
각 헌관과 제 집사는 제복을 입고 제단 앞에 차례로 서시오.
執禮先就拜位再拜 - 집례선취배위재배
집사는 먼저 신위 전에 재배하시오.
行 盥洗禮 - 행관세례
관세례를 행하겠습니다.
獻官及諸執事盥洗 헌관급제집사관세
각헌관과 집사는 관세 물에 손을 씻으시오.
行 降神禮 - 행 강 신 례
조상님의 신을 모시는 예를 행하겠습니다.
初獻官詣香案前跪 奉爐 奉香 三上香 俯伏興 - 초헌관예향안전궤봉로봉향삼상향부복흥
초헌관은 향로 앞에 무룹을 꿇어앉아 향을 세 번 넣어 피우고 일어나시오.
初獻官再拜跪 - 초헌관재배궤
초헌관은 재배하고 다시 무룹을 꿇고 앉으시오.
司樽 奉爵 斟酒灌于茅沙 奠虛酌 興 降復位 - 사준봉작짐주관우모사전허작흥강복위
초헌관은 술잔에 술을 조금 따라 모사 그릇에 따르고 빈 잔을 올리시고일어나 제자리로 가시오
獻官及諸執事 一同參神再拜 - 헌관급제집사일동참신재배
헌관이하 모두 집례의 소리에 맞춰 재배 하시오.(배~~·흥·) (배~~·흥·)
行 初獻禮 - 행 초 헌 예
첫번째 잔을 초헌관이 올리겠습니다.
初獻官詣神位前跪 司樽 酌酒 奉爵 除酒 奠爵 - 초헌관예신위전궤사준작주봉작제주전작
초헌관은 제단 앞에 나와 무릅을 굻고 앉으시요.각 술잔에 술을 가득 따라 모사 그릇에 제주하고 각 신위 전에 올리시오.
啓飯盖 揷匙正著 - 게반개삽시정저
집사는 메 그릇 뚜겅을 열고 수저를 꽂으시오. 젓가락을 세번 굴러 제자리에 놓으시오.
獻官以下皆俯伏 - 헌관이히개부복
각 헌관이하 모두 꿇어 엎드리시오
祝進初獻官之左跪 讀祝 - 축진초헌관지좌궤독축
축관은 초헌관 좌측에 엎드려 축을 읽으시오.
|
( )년 ( )월 ( )일 후손 ( )는 고하나이다.
( )대조 할아버님 할머님 서리가 내리는 계절이 돌아오니 영원토록 우러러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 하시옵소서
興 初獻官再拜 降復位- 흥초헌관재배강복위
모두 일어서고. 초헌관만 재배하시고 제 자리로 가시오.
行 亞獻禮 - 행아헌예
두번째 잔을 아헌관이 올리겠습니다.
亞獻官詣神位前跪 司樽 酌酒 奉爵 除酒 奠爵 - 아헌관예신위전궤사준작주봉작제주전작
아헌관은 제단 앞에 무릅을 꿇고 앉으시오.
술잔에 술을 가득 딸아 모사그릇에 제주하고 각 신위 전에 올리시오.
進肉炙 正箸 - 진 육 적 정 저
육적을 올리시오. 젓가락을 세 번 굴러 제자리에 놓으시오.
亞獻官再拜 降復位 - 아헌관재배강복위
아헌관은 재배하고 제 자리로 가시오.
行 終獻禮 - 행 종 헌 예
세번째 잔을 종헌관이 올리겠습니다.
終獻官詣神位前跪 司樽 酌酒 奉爵 除酒 奠爵 - 종헌관예신위전궤사준작주봉작제주전작
종헌관은 제단 앞에 무릅 꿇고 앉으시오.
각 술잔에 술을 가득 따라 모사그릇에 제주하고 각 신위 전에 올리시오.
進炙 正箸 - 진 적 정 저
생선적을 올리시오 . 젓가락을 세 번 굴러 제 자리에 놓으시오.
終獻官再拜 降復位 - 종헌관재배강복위
종헌관은 재배하고 제자리로 가시오.
行 侑食禮 - 행유식예
마지막 숭늉을 드리는 예를 올리겠습니다.
初獻官神位前跪 - 초헌관신위전궤
초헌관은 제단 앞에 꿇어 앉으시오.
徹羹 進茶 三抄飯 正箸 - 철갱진다삼초반정저
집사는 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리시오매를 한 숟갈 숭늉에 떠 넣고 수저를 세 번 저으시오.
獻官以下皆俯伏 肅竢少頃 - 헌관이하개부복숙사소경
헌관이하 모두 굻어 엎드려 조용히 고개를 숙이고 기도 하시오.
(이 기도는 조상님들께서 천천히 물에 말아 많이 흠향하시라는 기원과, 조상님의 명복을 기원하고 종족의 안위와 번영을 기원하는 기도입니다.)
興降復位 - 흥강복위
모두 일어나 제자리로 가시오.
行辭神禮 - 행사신예
이제 작별의 예를 올리겠습니다.
初獻官詣神位前跪 - 초헌관예신위전궤
초헌관은 제단 앞에 꿇어 앉으시오.
盒飯蓋 徹匙箸 - 합반개철시저
집사는 매의 뚜껑을 덮고 수저 젓가락을 거두시오.
興降復位 - 흥강복위
모두 일어나 제자리로 가시오.
祝神位前進告利成 - 축신위전진고이성
축관은 신위 전에 나와 이성 하시오.
利(이)成(성) -
獻官以下一同辭神再拜 - 헌관이하일동사신재배
헌관이하 모두 집례의 소리에 맞춰 재배 하시오(배~~· 흥·) (배~~· 흥·)
執禮神位前進告禮畢 - 집예신위전진고예필
집례는 신위 전에 모든 예가 끝났음을 아뢰시오.
禮畢 - 예필
모든 예를 마치겠습니다.
합동시제축(合同時祭祝 - 종중납골묘에서 지낼 때) |
|
대조 할아버님 할머님이하 직계나 방계 모든 조상님에게 고합니다.
어느덧 세월이 흐르고 해가 바뀌어 묘소를 살피면서 예를 다하지 못한 망극함과 사모하는 마음을 이길 수 없어 한 위 한위 봉사함이 당연하오나 세속을 따라 합동으로 세사를 올리는 것을 황공하게 생각하며 후손들이 정성껏 음식을 마련하여 올리오니 흠향 하십시오.
※ 위는 묘에서 지낼 때의 축문 이며 집에서 모실 때는 之墓 와 瞻掃封塋 (첨소봉영)을 빼고 合同奉祀 (합동봉사) 다음에 時勢不得 家內行祀 (시세부득 가내행사)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日氣不順 家內行祀 (일기불순 가내행사)등을 넣으며 혹시 가족 납골묘로 여러 위를 같이 봉안했으면 之墓 (지묘)를 納墓 (납묘)로 써도 무방하고 각위 봉사를 할 때는 모봉모씨 다음에 이하 직방계조(以下 直傍系祖 )6자와 各位 부터 合同奉祀 까지 20자를 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