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1子 의성군(誼城君) 1411(태종 11) ~ 1493(성종24) |
의성군(誼城君)은 1411년(태종11)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해주정씨(海州鄭氏)의 장남으로 태어나셨으 며, 휘는 채(寀), 자는 자홍(子弘)이시다. 세종(世宗)대왕께서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는 의성군을 가상히 여겨 내장(內藏)의 서책(書冊)을 내려주시고, 사랑함이 날마다 돈독하여 항상 궁중에 입시(入侍)하면서 여러 아들과 다름이 없었다.
초휘 는 용이었으나, 채(寀)로 세조(世祖)대왕이 고쳐주셨다.
배위는 회인군부인(懷仁郡夫人)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직장(直長) 차궁(次弓)의 따님이시다. 1424년(세종6) 의성군으로 봉해지셨고 종2품 가정대부(嘉靖 大夫), 1431년(세종13) 정2품 정헌대부(正憲大夫), 1434년(세 종16)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 이때에 봉안어용사(奉安御 容使), 1444년(세종26) 종1품 소덕대부(昭德大夫), 1450년(세 종32) 대전관(代奠官), 1450년(문종1) 정1품 흥록대부(興祿 大夫), 특별히 1489년(성종20) 종친의 최고품계인 정1품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오르셨다. 1493년(성종24) 8월13일 83세를 일기로 별세하셨으며, 시호는 호민(胡敏)이시다.
호민(胡敏)의 뜻은 「彌年壽考曰胡 好古不怠 曰敏」 오래 수(壽)한 것이 호(胡)이고, 옛것을 좋아하고 게으르지 아니한 것이 민(敏)이다. 슬하에는 7男(무송군, 잠성정, 운림도정, 서림도정, 봉성군, 영신군, 총곡수)과 6女를 두셨다. 묘소는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음현리에 있으며, 재실은 모민재(慕敏齋)이다.
◈ 第2子 서원군(瑞原君) 1413(태종13) ~ 1475(성종6) |
서원군(瑞原君)은 1413년(태종13)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해주정씨(海州鄭氏)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셨으며, 휘는 친(), 자는 사인(士仁)이시다. 배위는 의령군부인(宜寧郡夫人) 경주이씨(慶州李氏)이신 관찰사 "희"의 따님과 원주변씨(原州邊氏)이신 판관 "상근"의 따님이시다.
1427년(세종9)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원윤, 1429년(세종 11) 종2품 가정대부(嘉靖大夫) 서원군 이때에 사은정사(謝恩正使), 1435년(세종17) 정2품 정헌대부(正憲大夫), 1459년(세조5)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에 오르셨으며, 병조판서를 지내셨다.
1475년(성종6) 10월 2일 63세를 일기로 별세하셨으며, 시호는 이안(夷安)이시다. 이안(夷安)의 뜻은 「安心好靜曰夷 寬 裕和平曰安」 마음을 편안히 하여 고요함을 좋아함이 이(夷)요, 너그럽고 화평함이 안(安)이다.
슬하에는 6男(회의도정, 덕은도정, 제천군, 예천군, 고림군, 청거수)과 5女를 두셨다. 묘소는 초장(初葬)이 금천 삼성산 금불암리(현 관악구 상도동) 간좌였으나, 서울특별시 확장계획으로 경기도 성남시 정자동 천마봉 갑좌에 옮기고, 분당 신도시개발로 1990년 12월 경기도 포천군 소홀읍 이곡리 오좌로 옮겼다. 재실은 효안재(孝安齋)이다.
◈ 第3子 보성군(寶城君) 1416(태종16) ~ 1499(연산군5) |
보성군(寶城君)은 1416년(태종16)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해주정씨(海州鄭氏)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셨으며, 휘는 "갑"이시다.
배위는 청풍군부인(淸風郡夫人) 합천이씨(陜川李氏)로 광록시(光祿寺) 소경(少卿) "무창(茂昌)"의 따님 이시다.
1441년(세종23) 보성군으로 봉해지셨고 종2품 가정대부(嘉 靖大夫), 1444년(세종26) 정2품 숭헌대부(崇憲大夫), 1489년 (성종 20) 정1품 흥록대부(興綠大夫), 특별히 1479년(연산3) 종친의 최고품계인 정1품 현록대부(顯綠大夫)에 오르셨다.
특히, 세조(世祖)대왕시에 도진무(都鎭撫),해청위(海靑衛), 선전관(宣傳官),좌상대장(左廂大將) 등으로 공헌하셨다. 1499년(연산5) 9월 1일 84세를 일기로 별세하셨으며, 특히 임종시 '시호와 예장을 받지 않겠다'라는 유언을 남기셨다.
특명으로 묘비는 「조선국 왕손 현록대부 보성군 지묘」라고 새겨있다. 슬하에는 7男(신풍도정, 율원군, 춘양군, 평성군, 물거군, 원산군, 동양정)과 6女를 두셨다. 묘소는 초장(初葬)이 금천 박달골 오좌였으나, 1941년 6월 11일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미좌로 옮겼다. 재실은 묵수재(默守齋)이다.
◈ 第4子 낙안군(樂安君) 1417(태종17) ~ 1474(성종5) |
낙안군(樂安君)은 1417년(태종17)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해주정씨(海州鄭氏)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셨으며, 휘는 "녕", 자는 사안(士安)이시다. 배위는 양산군부인(梁山郡夫人) 언양김씨(彦陽金氏)로 주부(主簿) "중행(仲行)"의 따님이시다.
1433년(세종15) 낙안군으로 봉해지셨고 종2품 가정대부(嘉 靖大夫), 1459년(세조5) 정2품 숭헌대부(崇憲大夫), 1460년 (세조6)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에 오르셨다.성품이 관후(寬厚) 하시어 남을 거스르는 일이 없었다.
1474년(성종5) 5월 28일 58세를 일기로 별세하셨으며 시호는 이안(夷安)이시다.
이안(夷安)의 뜻은 「安心好靜曰夷 好和 不爭曰安」 마음을 편안히 하여 고요함을 좋아함이 이(夷)요, 화목을 좋아하며 다투지 않음이 안(安)이다.
슬하에는 1男(淸原正)과 1女를 두셨다. 묘소는 초장(初葬)이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서초 명달리(明達里) 건좌(乾坐)였으나, 서울특별시 확장계획으로 1968년 2월 23일 경기도 광주군 오포면 능평리로 옮겼다. 재실은 이안재(夷安齋)이다.
◈ 第5子 영천군(永川君) 1422(세종4) ~ 1497(연산군3) |
영천군(永川君)은 1422년(세종4)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해주정씨(海州鄭氏)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 나셨으며, 휘는 정(定), 자는 안지(安之)이시다.
배위는 군부인(郡夫人) 예천권씨(醴泉權氏)로 직장(直長) "광(光)"의 따님이 시다. 1440년(세종22) 영천군으로 봉해지셨고 종2품 정의대 부, 1444년(세종26) 종2품 중의대부, 1460년(세조6) 정2품 숭 헌대부(崇憲大夫), 1484년(성종15) 종1품 소덕대부(昭德大 夫), 1489년(성종20) 정1품 흥록대부(興祿大夫)에 오르셨다.조선 초기에 서거정과 더불어 대표적 시화(詩?)가셨다.
천성(天性)이 호탕하시고 구애됨이 없으며 성품이 또한 순진하고 근엄하여 무슨 일이든지 곧게 행하셨다. 별세하신 연도는 미상이다. 하지만, 76세인 1497년(연산3)까지 생존하셨다는 왕조실록의 기록이 있다. 시호는 호안(胡安)이시다.
호안(胡安)의 뜻은 「彌年壽考曰胡 好和不爭曰安」: 오래 수(壽) 한 것이 호(胡)요, 화목을 좋아하여 다투지 않음이 안(安)이다. 슬하에는 2男(泰康守, 良浦守)과 3女를 두셨다.
묘소는 초장(初葬)이 현 서울시 서초구 서초 초등학교 자리인 경기 과천(果川) 상초리(霜草里) 선산국내(先山局內) 미좌(未坐:동북을 바라보는 자리)였으나, 서울특별시 확장계획으로 1970년 3월 5일 전북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 1058번지의 축좌(丑坐:남서를 바라보는 자리)로 옮겼다. 재실은 영암재(永巖齋)이다.
◈ 第6子 원천군(原川君) 1423(세종5) ~ 1476(성종7) |
원천군(原川君)은 1423(세종6) 효령대군(孝寧大君)과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해주정씨(海州鄭氏)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나셨으며, 휘는 의(宜)이시다. 배위는 초취(初娶) 군부인(郡夫人) 백천조씨(白川趙氏)로 참판(參判) "서강(瑞康)"의 따님이시며, 재취(再娶) 군부인(郡夫人) 한양조씨(漢陽趙氏)는 목사(牧使) "지당(之唐)"의 따님이시다.
효령대군의 아우 성녕대군(誠寧大君)을 입사(立嗣)한 안평대군(安平大君)이 단묘계유정난(端廟癸酉靖難)으로 입사할 수 없게되자, 1460년(세조6) 정월 종부시(宗簿寺)에서 원천군으로 하여금 성녕대군을 입사하게 하므로 승명입계(承命入繼)하였다.
처음에는 종2품 중의대 부(中義大夫) 원천윤(原川尹), 1459년(세조5) 정2품 승헌대부(承憲大夫), 1460년(세조6)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 원천경(原川卿), 1466년(세조12) 원천군으로 다시 제수(除授)되었다.
1476년(성종7)5월 25일 춘추 54세에 별세하셨고 시호는 안도(安悼)이시다. 안도(安悼)의 뜻은 「好和不爭曰安 年中早 夭曰悼」 화합을 좋아하여 다투지 않음이 안(安)이요, 중년(中年)에 요절(夭折)함이 도(悼)이다. 슬하에는 3男(列山都正, 岐城守, 加恩君)을 두셨다.
묘소는 초장(初葬)은 서울시 중랑구 신내동(망우리 내동) 신좌에 군부인 백천조씨와 합폄, 군부인 한양 조씨는 동원에 있었다. 1991년 서울특별시 확장계획으로 경기도 고양군 대자동 성녕대군 묘역 아래로 옮겼다.
◈ 第7子 안강도정(安康都正) 1430(세종12)~ ? |
안강도정(安康都正)은 1430년(세종12년) 효령대군(孝寧大君)과 평해손씨(平海孫氏)의 아들로 태어나셨다.
안강도정(安康都 正)의 생모(生母)이신 평해손씨(平海孫氏)는 낭장(郎將) 증 병조판서(兵曹判書) "유례(有禮)"의 증손녀이시고, 군수 증찬성(郡守 贈贊成) "밀(密)"의 손녀이시며, "인효(仁孝)"의 따님이시다.
대군의 일곱째 아들로 휘는 "량"이시며, 배위는 신부인(愼夫 人) 진주류씨(晋州柳氏)와 함평이씨(咸平李氏)이시다.1444년(세종26) 창선대부(彰善大夫) 안강정(安康正)에 제수 되신 후, 1489년(성종20) 정3품 명선대부(明善大夫)에 오르셨다.
별세한 연도는 미상이다. 슬하에 7男(영평부정, 습계군, 회양부정, 개산부수, 천령군, 자인부수, 양양정)과 2女를 두셨다.
묘는 실전되어, 1981년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덕목 리 광덕산 을좌에 설단하였다가, 1988년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산 192번지 을좌에 천단(遷壇)하였다. 재실은 해강재(海康齋)이다.
◈ 묘소 |
▶ 第1子 의성군(誼城君)
묘 소: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엄현리 산 3 제향일 : (음)10월2일
▶ 第2子 서원군(瑞原君)
묘 소:경기도 포천군 소홀면 이곡리 산72 제향일 : (음)10월2일
▶ 第3子 보성군(寶城君)
묘 소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제향일 : (음)10월2일
▶ 第4子 낙안군(樂安君)
묘 소:경기도 광주군 오포면 능평리 제향일 : (음)10월2일
▶ 第5子 영천군(永川君)
묘 소:전북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 제향일 : (음)3월9일
▶ 第7子 안강도정(安康都正)
묘 소:경기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산 192 제향일 : (음)10월2일